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Geek
- hadoop
- 애플 블루투스
- 파이 키우기
- 로드뷰
- Iriver
- 다음
- 다이소
- 강남역 7번출구
- 윈도우 7
- 별 둘
- 다음 로드뷰
- 삼성SDI
- 별 넷
- 다음 지도
- openmaru
- 연구참여
- 애플 키보드
- lunamoth
- 다음커뮤니케이션
- Browser
- KLDP
- 아이비 호스팅
- 크로스 브라우징
- Windows 7
- 지못미
- 아이비호스팅
- Clix
- 디올리바
- 백만 악플러 양성 프로젝트
Archives
- Today
- Total
FUN
다이소.... 본문
100엔샵(혹은 1000원샵)으로 유명한 다이소.
며칠전 다이소와 관련된 인터뷰 기사에서 가장 인상 깊은건 다이소 본사와 판매점의 이익율이었다. 1
본사가 1% 판매점이 30%이다. 다이소의 기본 상품값이 1000원인걸 생각하면 타올하나에 본사는 10원을 남기고 판매점은 300원을 남긴다. 2
인터뷰의 내용이 떠오른다. "우리의 물건은 절대 비싼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저 정도의 마진율을 보장해 주지 못하면 판매점이 죽게 된다." "판매점이 없으면 우리도 없다." 그리고 이 말도 떠오른다. "CP의 고혈위에 세워진 회사" (via chester)
Net상의 수많은 유통회사들을 떠올린다. 그리고 그들의 수익 분배를 떠올린다. 100:0에 가까운 기존의 유통구조는 깨질 것인가. 1:99의 시대는 올 것인가? 하루 앞도 예측하기 힘든 요즈음에 달라질 1년뒤를 상상해 본다.
며칠전 다이소와 관련된 인터뷰 기사에서 가장 인상 깊은건 다이소 본사와 판매점의 이익율이었다. 1
1:30
본사가 1% 판매점이 30%이다. 다이소의 기본 상품값이 1000원인걸 생각하면 타올하나에 본사는 10원을 남기고 판매점은 300원을 남긴다. 2
인터뷰의 내용이 떠오른다. "우리의 물건은 절대 비싼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저 정도의 마진율을 보장해 주지 못하면 판매점이 죽게 된다." "판매점이 없으면 우리도 없다." 그리고 이 말도 떠오른다. "CP의 고혈위에 세워진 회사" (via chester)
Net상의 수많은 유통회사들을 떠올린다. 그리고 그들의 수익 분배를 떠올린다. 100:0에 가까운 기존의 유통구조는 깨질 것인가. 1:99의 시대는 올 것인가? 하루 앞도 예측하기 힘든 요즈음에 달라질 1년뒤를 상상해 본다.